728x90

'공부 잘하는 아이'로 키우려면 이렇게 하세요!!(김주환 교수 풀버전) - YouTube

실패하지 않는 삶은 불가능하다. 

 

떨어져봐야떨어져 봐야 저기가 위였구나 하는 것을 알 수 있고 떨어져 봐야 다시 올라가고 싶은 마음이 생긴다. 쭉 가는 사람은 어디가 위인지 아래인지 방향성을 알 수 없다. 

 

내려가면 멈추는 경우가 많다. 공부잘하는 아이가 초등까지 잘하다 중학 때 확 떨어지면 충격받아서 다시 올라오지 못한다. 그걸 딛고 다시 오르는 건 실패에 달려있지 않고 그 사람의 마음근력에 달려있다. 회복 탄력성. 

 

사람 근육은 똑같은 부하를 주면 지친다. 회복하면 근육이 커지고 파괴하면 다시 합성될 때 더 커진다. 그래서 근육통이 생기고 더 커지는 것. 편안하면 발달이 없다. 

 

강한 의지에 집착하면 유리멘탈이 된다. 회복 탄력성은 불굴의 의지를 강조해서는 안된다. 강한 의지는 강한 마음근력의 결과로 나오는 것일 뿐이다. 

 

반드시 내가 이번 시험을 잘 보고 말 거야. 승부에 집착하는 경우는 잘 되지 않는다. 

 

공부 잘하는 아이를 만들고 싶은 부모님들. 공부를 잘하기 위해서는 관계가 좋아야 하나도. 대부분의 부모는 아이 공부를 방해한다. 엄마가 아이 시험이 몇 월 며칠인지 어느 과목을 언제 보는지 시험범위가 어디인지 다 알고 있다면 아이는 공부를 못할 가능성이 높다. 잘못된 관심이 아이를 스트레스받게 한다. 많은 아이들이 중학교 가면 엄마와 싸운다.

 

초등 때까지는 엄마말을 잘 들은 게 아니라 싸울 힘이 없었을 뿐이다. 학원가라, 공부해라, 이거하고 놀아라라고 계속 압박을 주면 이 걸해야 엄마의 사랑을 얻는다고 생각한다. 영어, 수학을 안 하면 날 사랑하지 않으므로 영어, 수학이 싫어지는 것.

 

부모가 자녀의 공부를 대하는 올바른 자세?

개입하는 방법은 니 맘대로 해라가 아니라 아이랑 엄마가 한편이 되어서 공부를 바라봐주어야 한다. 공부안한다고 화내는 순간 아이와 관계는 벌어진다. 영어 유치원을 가도 되고 안 가도 되는데 영어 유치원을 보내는 방식이 중요하다. 안 간다고 하면 너의 행복이 더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주어야 한다. 엄마는 네가 공부해도 좋고, 꼴등해도 좋다는 메시지를 주어야 한다. 

 

숙제하면 사탕줄게, 이거 하면 뭐 줄게, 이런 건 공부를 못하게 고사를 지내는 것이다. 처음 시동 걸 때 발동 걸 때는 외적 보상을 살짝 주는 것도 좋지만 하다 보면 재미를 느끼게 되고 그것을 키워주어야 한다. 

 

아이에게 자율성을 얼마나 주어야 할까. 

아이들이 게임을 하는 동기가 무엇일까를 연구한 결과 직접적인 보상이라 생각했지만 게임이 주는 자율성이 원인이었다. 내 인생을 내가 산다. 중요한 것은 내가 결정한다. 어린 시절 환경을 변화시킴으로써 느끼는 경험을 하는데 모래장난, 휴지 뽑기 등은 내가 결정해서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재미있어하는 것이다. 게임에선 모두 내가 결정하기 때문에 새로운 세상이 열리기 때문에. 

 

학업에 자율성을 부여하는 방법은? 

아이가 스스로 학업 계획을 세우는 것이다. 점수올리는 것이 목표가 아니라 계획의 완수를 하는 것. 

728x90

[EN/KR] 성공하는 사람들은 이걸 잘합니다 | 김주환 교수 - YouTube

 

나의 강점이 무엇일까?  강점 5가지. 

생각나는 대로 말해서 메모한다. 

 

아이가 성적표를 가져왔을 때 선생이나 부모가 어떤 피드백을 줘야 할까? 

교육학에서는 피드백이 굉장히 중요하다. 과학은 90점이고 수학이 50점이면, 과학 90점은 눈에 보이지 않고 부모의 첫 반응은 수학 50만 보인다. 그럼 아이는 수학을 올리는데 집중해서 수학은 올라가지만 과학은 더 이상 올라가지 않는다. 과학이 90점이면 과학 90점을 언급해 주고 100점을 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럼 아이의 무의식에 수학 50점이란 아이가 아니라 과학을 이미 잘하는데 잘하는걸 더 잘하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이라는 생각을 갖게 된다. 강점에 집중해라. 그런데 현실에서는 못하는 걸 언급하기 바쁘다.

 

나의 부족한점이 무엇인가에 생각하지 말고 잘하는 것에 집중해라. 나의 부족한 점을 보완, 개선하려는 것에만 신경 쓰고 있다. 우리 사회에서 잘난 점을 물어볼 때는 싸울 때 쓰고 있다. 강점에 대해 평소 이야기를 많이 해야 한다. 

 

햄버거 체인점. 90~100등에 있는 매장에 지원했더니 매출이 50% 올랐고, 상위 매출 매장에 동일한 금액을 지원했더니 500% 올랐다. 내 강점, 내 장점에 집중해서 키우면 전체적으로 더 좋아지게 되어 있다. 상대가 나의 장점을 받아 적을 때 강력하게 긍정성이 활성화된다. 혼자 있을 때는 수시로 생각한다.

 

서로를 마주보며 존중고백하기. 존중 커뮤니케이션. 상대의 장점을 듣고 한두 가지를 뽑아서 상대에게 존중고백을 한다. 존중하는 말을 하면 나 스스로가 행복해진다. 

 

결혼생활을 지속적으로 잘 이어지는 커플은 존중하는 커플이 오래간다. 제일 존중하기 어려운 사람은 배우자. 존중력 훈련 상대로 가장 좋은 것이 배우자이다. 

 

아이를 존중하는 마음으로 키운다. 왕이 되기 위한 교육을 시킬때 아랫사람을 존중하는 교육을 시킨다. 아이를 리더로 키우고 싶다면 존중력을 기르는 교육이 필수이다. 

 

학교에서는 국영수만 가르치고 있지만 그것이 전부가 아닌데 국영수에만 집중해 있는 현상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언어와 수리만 강조하는 것은 구시대적 발상이다. 현대에 잠깐 등장한 교육이 너무나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것이 안타깝다. 학교에서 가르쳐야 하는 것은 영양, 수면, 운동, 집중, 명상, 마음근력, 존중 등을 가르쳐야 한다.  

 

앞으로는 인공지능이 발달하므로 기존 교육 방식이 바뀔 수밖에 없다. 

 

대학이 붕괴하고 있다고 생각하는지?

대학은 이미 망했다. 이미 사양산업이다. 학생들이 교육받으러 오는 것이 아니라 졸업장을 받으러 가고 있다. 대학을 고를 때 어느 학교 졸업장이 더 돈이 될까를 생각하고 대학교에 가서는 공부가 아닌 졸업하기 위한 학점을 딸뿐이다. 현재 교육 시스템은 가르치는 사람의 밥벌이를 위한 것일 뿐이다. 졸업장의 가치도 점점 떨어지고 있다. 

 

평생직장도 50년간 잠깐 있었던 개념이다. 

 

교수는 가르침에 능숙한 사람들이 아니다. 연구를 하는 사람이기 때문에. 메이저 대학의 첫 번째 임무는 학생을 잘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1년에 논문 몇 편을 써서 자리를 지켜야 하는 것이다. 

 

학벌이 먹고 사는 것을 더 이상 보장해 주지 않는다. 

 

+ Recent posts